사실, 난민의 고스트를 네트워크에 상부시키는 계획이 성공하거나 혹은, 실패하는 것을 그리는 것은 애초에 있을 수 없었습니다.
GIG는 전반부는 잘 나아가다 중반부터 흐름이 분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모의 사건을 가정하고 제어하기에는 너무 일을 크게 벌려놓은 것이지요. 결국에는 결말이 흐지부진 바가 큽니다. 하지만, 그런 것을 공각의 오리지널 코믹스의 시작부에 끼워넣음으로써 – 좋은 말로 – 멋지게 커버하는 임기응변을 보여줬습니다.
비밀부대. 독립적 정치. 대국과의 동등한 위상. 이런 것들은 외국인인 우리가 보기에는 너무나 껄끄러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일본인은 자신들이 과거에 미국과 동등하게 아니, 더 높게 겨뤄왔다는 자부심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대전 종결 이후, 근 50년 동안 끊임없이 세계 대국에게 휘둘림을 당하고 있기 때문에, XXX(단어가 생각나지 않는군요)가 있지요. 이 작품의 총리가 말하는 ‘일신독립을 이룩함으로서 일국독립을 성취한다.’ 일본인의 전반적인 소망이자 열망입니다. 때문에,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전반적인 방향은 크게 틀리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얘기를 다뤘음에도 GIG는 – 9과의 행동에 상관없이 – 나름대로 중립적인 방향을 지키려 애쓴 흔적이 보입니다. 아니, 정치적인 얘기로 넘어가려는 것을 본래의 주제로 돌아가는데 힘썼다는 것이 올바른 얘기 같군요.
총리가 쓰는 헤드폰도 붉은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 사람은 저것도 붉은색을 쓰는가?’하는 생각이 들었지요. 지금 윗글을 쓰다가 이 장면이 생각났습니다. 그런데, 다음으로 생각이 미치더군요.
능력치 3배.
…….
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면서 생각난 것이 또 있는데.
그래서 비밀 부대를 부를 수 있구나.
…….
쿠제가 세운 혁명에 관한 동기와 생각에 관하여 적극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사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얘기였지요.
쿠사나기가 소위 상부구조로 이동한 인간의 독점 가능성을 얘기하지요. 저도 그것을 생각했지요. 하지만 쿠제는 그렇다 하더라도 상부구조를 끊임없이 인식시키는 계몽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 얘기하더군요. 이것은 자의든, 타의든 상관없이 겠지요.
저는 그 얘기를 들으면서 ‘이상이 너무 높은 것은 아닐까……. 인간은 그렇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그들이 독점에 있어 구조 자체를 감추려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금 비관적이구나.’하고 생각했습니다.
바트들이 쫓기다가 막바지에 몰렸을 때, 동료들을 안전한 장소로 옮기기 위해 교란을 일으키는 장면에 대하여 말할까 합니다. 그 장면을 되돌려 보면서 저절로, 소설로 표현할 때 어떻게 이루어질지 떠오르더군요. 그런데, 그 느낌이 가끔 소설을 읽다가 어이없다고 생각될 때의 느낌이었습니다.
구조상 입을 움직이지 못하는 쿠제. 다시 한 번 자신을 띄어 넘습니다. 하지만, 기다리는 것은…….
고정관념 때문에 의외로 별달리 눈치채지 못하고 지나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바트가 광학미채를 풀고, 레인저 또한 광학미채를 푸는 장면에서 ‘어라, 여자도 있네?’하고 놀랬습니다.
(Glradios. ‘매력적이더군요.’ 파문.)
몇 번을 되돌려 봤습니다.
그런데…….
‘레인저의 목소리 중에서 여성의 목소리는 들은 적이 없잖아.’
확인 작업에 착수. 하지만, 여성의 전투복을 본 것은 쿠사나기 뿐인지라 확인할 방도가 없었습니다. 전투복만으로 보자면 오히려 여성이 맞겠더군요. 그 사람은 두개의 Scene에서 나오는데(아마도), 두 번째 scene는 머리만 나오기 때문에 다양하게 찾아볼 수 도 없었습니다.
Hair Style이 예뻐서 여자로 착각했던 것이지요.
여자가 아니라서……. 좌절.
Hair Style만으로 여성이라고 착각해서……. 좌절.
저는 강한 여성을 좋아하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