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본인.
출처: 본인.
PT: 2004.12.24~26
꽤나 지루한 여정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주인공이 좀 뭘 아는 인간이구나 싶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저는 자연스럽게 진행해서 야에가시 츠바사-해피 엔딩 봤습니다. 누군가 특별히 엔딩을 보고싶은 마음이 없어도 무조건 히로인이 생깁니다. 그리고 플레이어 웃게하려고 정말 노력하더군요. 웃기는 부분이 꽤나 있었던 건 사실인 것 같습니다. 다만, 그게 주인공과 플레이어의 교감동기화를 막는다는게 문제죠. 남 일 보듯이 웃을 수 있는 애니메이션식 방법이거든요.
두번째 진행은 유키무라 코마치-해피 엔딩을 봤습니다. 많은 사람의 가슴을 적셨다고 하던데 단순히 남성의 지배욕구를 충족시켰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안타까운 과거의 기억이라는 낭만으로 포장해서 전달한 것일 뿐입니다.
여름에 소위 백색 마약이라 불리우는 것을 해본 후 실망을 금치 못했습니다. 높은 위상 치고는 그저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건 연예인을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던 탓에 기억에 남아있고, 분기별 행동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 CG도 거의 봤지요.
하지만, 이번 벚꽃 마약은 기억에 남는 것이 없군요. 애초에 H한 것을 기대하고 진행하는 것이 아니기에 CG는 전부 볼 필요가 없고, 그래서 다른 캐릭터를 깨고싶다는 생각도 들지 않았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미성숙하고 비관적인 사상’이 딱 어울립니다.
게다가 마지막에는 지금까지 진행해온 사색에 결말조차 맺지않고서 해피로 문질러버리니 어처구니가 없더군요.(배드 엔딩있다는거 압니다.)
(이 글은 SpaceFantasy에 쓴 댓글의 일부 수정한 것입니다.)
연말에 피보는 줄 알았습니다.
어제까지 제출했어야할 서류가 늦어져서요.
다행입니다.
잠시 보고하러 왔습니다. ^_^a
한 해를 반성하고 정리하며 보냅시다.
그리고, 기쁘게 새해를 맞이해야겠죠? ^_^
블리자드는 왜 이 프로그램을 막지 않는지 모르겠군요. 단순한 매크로 프로그램도 아닌데 말입니다. 아니, 막을 방법이 없는 것인가?
이건 좀 게임 플레이에 있어 불공평하군요. 상호 동등한 게임 법칙에 적용을 받지 않으니까요.
확장된 단축창만 세 개입니다. 일반 사용자가 키보드로 단축창 불러내고 있을 때 저쪽은 이미 마우스로 클릭하고 있는 거죠. 이건 보이지 않는 손이 결투 전에 이미 총을 쥐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대, 행복만을 향해 달려가라
하지만 너무 많이 달리지는 말라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하니까
행복은 내 뒤에서 달려간다
_브레히트
• 당신에게 행복이란 무엇인가? 브레히트의 시에 동의하는가? 누구나 노력하면 행복이 찾아오는가? 그리고 그것이 의미가 있을까? 그렇지 않다면 행복은 아주 순간적으로, 또는 우연히 찾아오는 것일까?
– 행복이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남에게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정신적인 자유의 행태가 아닐까 한다. 단, 이것은 자본으로 가능한 형태를 말하지는 않는다.
– 누구나 노력한다고 행복이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냉정할 정도로 만물에게 공평하다. 때문에, 세상은 공평할 수 없다. 등가법칙은 물리적 세계에만 국한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 맞을 것이다. 행복은 아주 순간적으로, 또는 우연히 찾아오는 것이다.
이런걸 블랙유머라 해야하나…….
‘영화관에서 봤다면 정말 좋았을텐데’하는 생각이 듭니다.
곧 개봉할 ‘스팀보이’의 감독을 맡고있는 오토모 감독의 작품입니다. 각기 다른 내용의 세 작품이 이어져 상영되는 옴니버스 형식이지요.
이 작품은 일본의 미래, 현재, 과거를 풍자하는 내용을 담았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딱히 누군가를 겨냥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느낌은 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작품에 나오는 캐릭터의 행위를 통해서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자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반(1편)하고, 조소(2펴)하며, 증오(3편)하도록 만듭니다. 오토모 감독의 재능이 가장 빛을 발하는 대표적 작품으로 뽑고 싶습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1편인 ‘Magnetic Rose – 그녀의 추억’였습니다. 우주선의 무덤에서 SOS 신호를 포착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죠.
우주라는 의지할 곳없는 공간을 이용해 넓은 장소이면서도 고립된 장소를 소화해냈습니다. 진지하게 사건을 진행해가며 캐릭터의 행동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게 만들면서도 그로 인한 피로를 느낄 새도 주지 않고 차분하면서도 성큼성큼 차례대로 단계를 밝아가며 관객의 시선과 사고를 주도합니다.
하지만, ‘Magnetic Rose – 그녀의 추억’은 마무리가 상당히 애매해 아쉬운 작품이었습니다. 행위의 결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관객에게 확연히 전달하지 못했다는 느낌입니다.
나머지 ‘Stink Bomb’와 ‘Canno Fodder’는 직접 감상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꼭 이것들을 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음악도 정말 괜찮다 싶어서 OST를 구하려 했는데 알고보니, Yoko Kanno씨가 맡은 것이더군요. 특히, ‘Magnetic Rose’에서 나오는 오페라는 일품입니다. 이 장면은 너무나도 인상이 강렬해 ‘Memories’ 작품 전체를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상단의 이미지가 바로 그것입니다.
DVD를 구매할 생각을 하고 지웠는데 알고보니 DVD판매는 없더군요. 덕분에 다시 받아야 하게 되었습니다.
간만에 정말 소장하고 싶은 작품입니다.
(2004-12-16, 0058 hours)
오늘도 그렇고 예전에도 몇번인가 큰 맘먹고 자신의 사진을 올려보려고 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사진이 없다.
그러고보니, 나중에 두고두고 볼 10대 전후의 젊을적 사진도 없다.
OTL
┗이거 오늘 처음 써본다.
Production-IG의 S.A.C 제작팀의 공개사진 중에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