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우주

Space Pen

  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1960년대 미국과 련간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때의 일이다.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쏘아올리자 자극을 받은 미국은 막대한한 돈을 쏟아부어 이내 소련을 따라잡았다.
  이처럼 이 우주에 목을 매다시피 하고 있을 때 한가지 문제가 떠올랐다. 우주비행사들이 무중력 상태에서 볼펜을 쓸 수 없어 우주에서 한 실험을 기록으로 남기지 못했던 것이다.
  볼펜은 세워서 쓰는 동안 잉크가 중력에 의해 조금씩 아래로 내려오며 펜 끝의 볼을 적셔 계속 글씨가 써지는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잉크가 흘러내려오지 않으므로 글씨를 쓸 수 없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 했던가. NASA는 곧바로 우주공간에서도 쓸 수 있는 볼펜 개발에 착수했다.
  이름하여 스페이스 펜Space Pen 프로젝트. 잉크가 든 대롱 뒤에 작은 압축공기 탱크를 달아 잉크를 공기가 밀도록 했다. 중력 대신 공기의 압력이 잉크를 펜 끝의 볼 쪽으로 밀어붙여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얼마 뒤 미국의 우주비행사가 소련 우주비행사를 만났다. 자랑도 하고 싶고, 궁금하기도 해서 스페이스 펜을 꺼내들고 물었다.
  “이거 120만달러를 들여 개발한 건데, 당신들은 우주공간에서 뭘로 기록을 합니까?”
  미국 우주비행사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소련 우주비행사가 답했다.
  “우린 연필로 쓰는데….”

  어때요? 재밌으셨나요? 마지막에서 대부분이 웃지요!
 
하지만 만약 이 대화가 진실이라면, 실제 대화는 그렇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마 숙연해졌을 것이고, 자신이 실수를 했다는것과 심히
안타까움을 느낀 미국 비행사는 대면한 소련 비행사에게 사과와 함께 자신의 펜을 꼬옥 쥐어주었을게 분명합니다.

 
NASA가 바보라서 연필을 쓰지 않은게 아닙니다. 연필은 글을 쓸 때 가루가 생깁니다. 이 가루는 모두들 아시는바와 같이
흑연이죠. 우주선에서는 공기가 순환하게 되는데, 때문에 이 가루는 선내에서 계속 잔존하게 됩니다. 결국 그것은 선원의 호흡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뿐만 아니라 흑연이 선내의 배선과 전자 장비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 또한 결코 배제할 수 없습니다. 우주에서
기계의 오작동은 곧 죽음과 직결됩니다.
  사실, 이 얘기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쓰여졌던 간에)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발상의 전환에 관한것이 라기보다는 소련 우주인이 얼마나 가혹한 환경에서 일했는지를 쉽게 알리는 예에 더 가깝습니다. 마지막의
말꼬리의 흐림은 마음을 더 아프게 합니다. 그들이 잦은 기침과 호흡곤란을 겪었을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며, 수명과 건강의 상실
또한 그러하며, 왜 소련제 우주선이 그렇게도 고장과 사고, 희생이 많았는지 다분히 납득이 가능합니다.
  아무도 모르는 미지의 영역에의 도전에 무결성을 추구하는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나, 소련은 그렇게 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것이 소련의 우주경쟁 패인의 요인일 것입니다.

  여튼 간에, 얼마 후에 이런 펜이 좀 필요할 것 같아 하나 장만하려는 중. 그리 비싸지 않더군요. 2.4~4.4k정도.

덧) 교훈 – 발상의 전환은 상황의 완전한 파악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Starship Operators, 04화.

  “그녀의 발상은 정말 다른 차원의 것 같거든.”
  음. 내 발상이 다른 차원의 것 같단 말이지?

  당연한 전개로 당연한 생각을 유도해놓고서는 관객을 우쭐하게 만드려는 것인가? 아니면 작가가 너무 우쭐해 하고 있는 것인가?
  게다가 너무 낭만주의적이지 않은가 하네요. 세상이 그렇게 잘 돌아갈거라는 듯이 얘기하는 걸 보면;;

Homeworld 한글 메뉴얼 디지털화 제작.

이렇게 만들면 완성도 높을 줄 알았죠. ㅡㅡ;
의외로 시간이 꽤 걸리는군요;;
역사부분은 총 39쪽입니다만, 샘플로 1쪽만 올립니다.

이렇게 계속해야하나 자꾸 의구심이 들기도 합니다.
그냥 스캔만 했으면 용량은 꽤 크지만 편했을텐데 하고요.
중도 하차해서 나머지는 스캔만으로 돌릴 수도 있습니다.

—–
기존의 번역게 가끔 수정을 가한 바가 있습니다.
대명사의 원문을 표시했습니다.
각 글의 부제는 한글화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오리지널 영문 메뉴얼에 사용되는 단어가 작위적인 것이 많은데다가 그것에 대한 의역도 많기 때문입니다.
—–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하시기 바랍니다.
—–


이 project에 대한 글은 이제 블로그에 따로 남기지 않습니다…….

Homeworld 한글 메뉴얼 스캔 시험 작업 시작.

   여러분께 묻겠습니다.

1. 인쇄소에 가서 “책으로 만들어주세요.”하면 그대로 찍어낼 수 있는 퀄리티를 원하십니까?
2. 아니면, 현재 일반 사람들이 쓰는 해상도에서 보기 편한 정도면 됩니까? 단, 몇 년 후에는 보려면 상당히 해상도를 낮춰야지만 제대로 볼 수 있을 공산이 큽니다.

둘 중 하나에 따라 용량이 아마 꽤 차이가 나지 않을까 합니다.

덧) 글은 이렇게 써놨지만 메뉴얼 제공자께서 1번을 원한다면 1번으로 스캔할 수 밖에 없지요. 후후.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들 스캔 작업하는데 더 힘들거나 하는 것은 없습니다. 아.. 스캔 시간이 길어지긴 하는군요.

Contact

  원래 소감을 쓸 생각은 없었기 때문에 간략하게 일부만 얘기하고자 합니다.

  우주를 사랑하고 갈망하는 사람이라면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는 소설이자 영화지요.
  원작자인 고 칼 세이건(Carl Sagan)씨는 영화가 나오는 것을 보지 못하고 암으로 돌아가셨습니다.

  여주인공은 매우 건전한 – 회의론적 – 과학자입니다. 때문에, 외계인의 존재는 있을거라 생각해도 장담하지 않고, 절대자의 존재 또한 믿지 않습니다. 아니, ‘믿음’이라는 것을 믿지 않습니다. 증명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남주인공은 신부학교에서 파면당한 사람이지만, 절대자의 존재를 믿습니다. 백악관 자문위원에 까진 오른 사람이기도 하지요.

  여주인공은 마지막에 변화합니다. 외계인과의 공식적인 First Contact를 통해, 우리가 무언가에 속해있는 존재이며 또한 귀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게 되지요. 그리고 그것은 증명할 수 없는 그 무엇이라는 것도…….
  하지만 광신자가 되었다는 소리는 아닙니다. 그녀는 여전히 지극히 건전한 과학자였습니다. 때문에 자신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을 부정하고 증명하지 못하지요.

  ‘Contact’는 매우 잘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원하는 연구를 – 무지한 세간의 평에 의해 – 마음대로 할 수 없고 휘둘러짐을 당하는, 그리고 자신들의 주의 때문에 자신을 신뢰할 수 없는 과학자들의 고뇌가 잘 담겨 있습니다.

  칼 세이건이 꿈꿨던 것이 실제로 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한 발짝 내딛을 수 있을테니까. 그리고 진실을 향해서도 나아갈 수 있을 테니까.
  아무리 어서 나아가고 싶어도, small move하라고 세이건은 말합니다. 이렇게 갈망하고 있는데……. 세이건 자신 또한 그렇지만 말입니다. 일에는 순서가 있는 법이니까.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 하나를 얘기하죠.
  여주인공이 Contact을 했을 때, 그녀가 과거에 상상했었던 펜사콜라 해변이 그녀 주변에 구현됩니다. 그리고 하늘에는 수많은 종류의 별과 우주가 펼쳐져 있었습니다. 정말 아름답기 그지없었습니다. 저곳에서 살고싶다고 생각했지요.
  프라네테스의 주인공이 해변에서 외계인을 만나는 꿈을 꾸는 장면을 기억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 장면은 아마 이 Contact에서 떠온 장면이 아닐까 하네요.

  영화의 끝에 For Carl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의 영혼이 평안하기를…….

지구 그리고 그 저편에.

Earth & Beyond
지금은 없어진 Westwood의 마지막 기획 작품.
EA의 지원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만들어졌다.
오히려 방해를 받았다고 한다.

예전에 직접 동영상을 추출해놓은 바가 있는데, 오프닝 동영상은 멋있는 고로 여러분을 위해 올려둡니다. 제 계정이니 트래픽 문제도 없겠고 해서 링크합니다.
직접 오락을 play 해보지 않은 사람이라면 한 번도 보지 못했을 동영상입니다. 따로 공개한 적이 없기 때문이죠.
즐감.

http://netspheres.org/pds/enb.mpg

SETI에 참가하지 않으실래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www.seti.pe.kr/


—전문—
SETI@home 프로그램은 특별한 종류의 화면보호기입니다. 다른 화면보호기처럼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작동이 시작되고, 컴퓨터로 작업을 시작하면 곧바로 종료됩니다. 이것의 역할은 특별합니다. 당신이 커피를 마시거나, 식사를 하고 잠을 잘때, 당신의 컴퓨터는 지구에서 가장 큰 전파망원경이 갈무리한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외계 지적 생명 탐사를 도와줍니다.


한국에서도 SETI지원 사이트가 있군요.
프로그램의 속성은 유키카제 외전 소설에서 나오는 그것과 같습니다. 흥미롭네요. 이로써 제 컴퓨터는 PC가 아니게 되는겁니까?  ^^


FAQ 중 하나 – 보안은??
http://www.seti.pe.kr/faq.html#q1.7
FAQ 중 하나 – 왜 프로그램 소스를 공개하지 않습니까?
http://www.seti.pe.kr/faq.html#q1.9


윈도 버전 미러 사이트
http://seti.ewha.net/download/setiathome_win_3_08.ex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