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얘기가 있습니다.
1960년대 미국과 련간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때의 일이다.
소련이 먼저 인공위성을 쏘아올리자 자극을 받은 미국은 막대한한 돈을 쏟아부어 이내 소련을 따라잡았다.
이처럼 이 우주에 목을 매다시피 하고 있을 때 한가지 문제가 떠올랐다. 우주비행사들이 무중력 상태에서 볼펜을 쓸 수 없어 우주에서 한 실험을 기록으로 남기지 못했던 것이다.
볼펜은 세워서 쓰는 동안 잉크가 중력에 의해 조금씩 아래로 내려오며 펜 끝의 볼을 적셔 계속 글씨가 써지는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잉크가 흘러내려오지 않으므로 글씨를 쓸 수 없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 했던가. NASA는 곧바로 우주공간에서도 쓸 수 있는 볼펜 개발에 착수했다.
이름하여 스페이스 펜Space Pen 프로젝트. 잉크가 든 대롱 뒤에 작은 압축공기 탱크를 달아 잉크를 공기가 밀도록 했다. 중력 대신 공기의 압력이 잉크를 펜 끝의 볼 쪽으로 밀어붙여 글씨를 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얼마 뒤 미국의 우주비행사가 소련 우주비행사를 만났다. 자랑도 하고 싶고, 궁금하기도 해서 스페이스 펜을 꺼내들고 물었다.
“이거 120만달러를 들여 개발한 건데, 당신들은 우주공간에서 뭘로 기록을 합니까?”
미국 우주비행사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소련 우주비행사가 답했다.
“우린 연필로 쓰는데….”
어때요? 재밌으셨나요? 마지막에서 대부분이 웃지요!
하지만 만약 이 대화가 진실이라면, 실제 대화는 그렇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마 숙연해졌을 것이고, 자신이 실수를 했다는것과 심히
안타까움을 느낀 미국 비행사는 대면한 소련 비행사에게 사과와 함께 자신의 펜을 꼬옥 쥐어주었을게 분명합니다.
NASA가 바보라서 연필을 쓰지 않은게 아닙니다. 연필은 글을 쓸 때 가루가 생깁니다. 이 가루는 모두들 아시는바와 같이
흑연이죠. 우주선에서는 공기가 순환하게 되는데, 때문에 이 가루는 선내에서 계속 잔존하게 됩니다. 결국 그것은 선원의 호흡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뿐만 아니라 흑연이 선내의 배선과 전자 장비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 또한 결코 배제할 수 없습니다. 우주에서
기계의 오작동은 곧 죽음과 직결됩니다.
사실, 이 얘기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쓰여졌던 간에)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발상의 전환에 관한것이 라기보다는 소련 우주인이 얼마나 가혹한 환경에서 일했는지를 쉽게 알리는 예에 더 가깝습니다. 마지막의
말꼬리의 흐림은 마음을 더 아프게 합니다. 그들이 잦은 기침과 호흡곤란을 겪었을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며, 수명과 건강의 상실
또한 그러하며, 왜 소련제 우주선이 그렇게도 고장과 사고, 희생이 많았는지 다분히 납득이 가능합니다.
아무도 모르는 미지의 영역에의 도전에 무결성을 추구하는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그러나, 소련은 그렇게 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것이 소련의 우주경쟁 패인의 요인일 것입니다.
여튼 간에, 얼마 후에 이런 펜이 좀 필요할 것 같아 하나 장만하려는 중. 그리 비싸지 않더군요. 2.4~4.4k정도.
덧) 교훈 – 발상의 전환은 상황의 완전한 파악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