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의 발상은 정말 다른 차원의 것 같거든.”
음. 내 발상이 다른 차원의 것 같단 말이지?
당연한 전개로 당연한 생각을 유도해놓고서는 관객을 우쭐하게 만드려는 것인가? 아니면 작가가 너무 우쭐해 하고 있는 것인가?
게다가 너무 낭만주의적이지 않은가 하네요. 세상이 그렇게 잘 돌아갈거라는 듯이 얘기하는 걸 보면;;
“그녀의 발상은 정말 다른 차원의 것 같거든.”
음. 내 발상이 다른 차원의 것 같단 말이지?
당연한 전개로 당연한 생각을 유도해놓고서는 관객을 우쭐하게 만드려는 것인가? 아니면 작가가 너무 우쭐해 하고 있는 것인가?
게다가 너무 낭만주의적이지 않은가 하네요. 세상이 그렇게 잘 돌아갈거라는 듯이 얘기하는 걸 보면;;
하루종일 이것만 외치면서 춤추고 있습니다. 춤추고 있습니다. 춤추고 있습니다. 춤추고 있습..
킹! 킹! 킹! 게이너~!
메타르 파이어~ @#$@% 메탈 푸울 코트~
킹 게이너 11화까지 봤습니다.
아마도 TV 녹화 버전인가 봅니다. 화질이 좀 떨어지는걸로 봐서는요.
DVD 버전을 보고 싶은데 구할데가 없군요.
사실, DVD 버전으로만 보려고 했는데 한 번 봐볼까 보고나니 멈출 수가 없더군요;;;
네오폴더로 코인 떨어질 때까지 봐버렸습니다. 이런.이런..
킹! 킹! 킹! 게이너~!
‘늙으면 사람이 변한는구나’라고 느껴지더군요. 어떻게 그런 폭발과 싸움이 있는데 사람이 안죽다니요. 솔직한 표현이 마음에 들었었는데, 사람이 많이 부드러워졌다는 생각이 드네요. SEED의 엿같은 아니, 역겹다시피한 야마토와 기타 캐릭 보다는(DESTINY는 모르겠음) 여기 주인공들이 훨씬, 굉장히 마음에 드네요.
아아..12화 봐야 하는데
킹! 킹! 킹! 게이너~!
덧) OST를 구할 때가 없군요. 오프닝,엔딩은 찾았습니다. 흐하하. 킹! 킹! 킹! 게이너~!
사실, 난민의 고스트를 네트워크에 상부시키는 계획이 성공하거나 혹은, 실패하는 것을 그리는 것은 애초에 있을 수 없었습니다.
GIG는 전반부는 잘 나아가다 중반부터 흐름이 분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모의 사건을 가정하고 제어하기에는 너무 일을 크게 벌려놓은 것이지요. 결국에는 결말이 흐지부진 바가 큽니다. 하지만, 그런 것을 공각의 오리지널 코믹스의 시작부에 끼워넣음으로써 – 좋은 말로 – 멋지게 커버하는 임기응변을 보여줬습니다.
비밀부대. 독립적 정치. 대국과의 동등한 위상. 이런 것들은 외국인인 우리가 보기에는 너무나 껄끄러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일본인은 자신들이 과거에 미국과 동등하게 아니, 더 높게 겨뤄왔다는 자부심이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대전 종결 이후, 근 50년 동안 끊임없이 세계 대국에게 휘둘림을 당하고 있기 때문에, XXX(단어가 생각나지 않는군요)가 있지요. 이 작품의 총리가 말하는 ‘일신독립을 이룩함으로서 일국독립을 성취한다.’ 일본인의 전반적인 소망이자 열망입니다. 때문에, 이 작품이 담고 있는 일본이라는 국가의 전반적인 방향은 크게 틀리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얘기를 다뤘음에도 GIG는 – 9과의 행동에 상관없이 – 나름대로 중립적인 방향을 지키려 애쓴 흔적이 보입니다. 아니, 정치적인 얘기로 넘어가려는 것을 본래의 주제로 돌아가는데 힘썼다는 것이 올바른 얘기 같군요.
총리가 쓰는 헤드폰도 붉은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저 사람은 저것도 붉은색을 쓰는가?’하는 생각이 들었지요. 지금 윗글을 쓰다가 이 장면이 생각났습니다. 그런데, 다음으로 생각이 미치더군요.
능력치 3배.
…….
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면서 생각난 것이 또 있는데.
그래서 비밀 부대를 부를 수 있구나.
…….
쿠제가 세운 혁명에 관한 동기와 생각에 관하여 적극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사실,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얘기였지요.
쿠사나기가 소위 상부구조로 이동한 인간의 독점 가능성을 얘기하지요. 저도 그것을 생각했지요. 하지만 쿠제는 그렇다 하더라도 상부구조를 끊임없이 인식시키는 계몽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 얘기하더군요. 이것은 자의든, 타의든 상관없이 겠지요.
저는 그 얘기를 들으면서 ‘이상이 너무 높은 것은 아닐까……. 인간은 그렇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그들이 독점에 있어 구조 자체를 감추려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조금 비관적이구나.’하고 생각했습니다.
바트들이 쫓기다가 막바지에 몰렸을 때, 동료들을 안전한 장소로 옮기기 위해 교란을 일으키는 장면에 대하여 말할까 합니다. 그 장면을 되돌려 보면서 저절로, 소설로 표현할 때 어떻게 이루어질지 떠오르더군요. 그런데, 그 느낌이 가끔 소설을 읽다가 어이없다고 생각될 때의 느낌이었습니다.
구조상 입을 움직이지 못하는 쿠제. 다시 한 번 자신을 띄어 넘습니다. 하지만, 기다리는 것은…….
고정관념 때문에 의외로 별달리 눈치채지 못하고 지나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바트가 광학미채를 풀고, 레인저 또한 광학미채를 푸는 장면에서 ‘어라, 여자도 있네?’하고 놀랬습니다.
(Glradios. ‘매력적이더군요.’ 파문.)
몇 번을 되돌려 봤습니다.
그런데…….
‘레인저의 목소리 중에서 여성의 목소리는 들은 적이 없잖아.’
확인 작업에 착수. 하지만, 여성의 전투복을 본 것은 쿠사나기 뿐인지라 확인할 방도가 없었습니다. 전투복만으로 보자면 오히려 여성이 맞겠더군요. 그 사람은 두개의 Scene에서 나오는데(아마도), 두 번째 scene는 머리만 나오기 때문에 다양하게 찾아볼 수 도 없었습니다.
Hair Style이 예뻐서 여자로 착각했던 것이지요.
여자가 아니라서……. 좌절.
Hair Style만으로 여성이라고 착각해서……. 좌절.
저는 강한 여성을 좋아하나 봅니다.
‘영화관에서 봤다면 정말 좋았을텐데’하는 생각이 듭니다.
곧 개봉할 ‘스팀보이’의 감독을 맡고있는 오토모 감독의 작품입니다. 각기 다른 내용의 세 작품이 이어져 상영되는 옴니버스 형식이지요.
이 작품은 일본의 미래, 현재, 과거를 풍자하는 내용을 담았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딱히 누군가를 겨냥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느낌은 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작품에 나오는 캐릭터의 행위를 통해서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자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반(1편)하고, 조소(2펴)하며, 증오(3편)하도록 만듭니다. 오토모 감독의 재능이 가장 빛을 발하는 대표적 작품으로 뽑고 싶습니다.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1편인 ‘Magnetic Rose – 그녀의 추억’였습니다. 우주선의 무덤에서 SOS 신호를 포착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죠.
우주라는 의지할 곳없는 공간을 이용해 넓은 장소이면서도 고립된 장소를 소화해냈습니다. 진지하게 사건을 진행해가며 캐릭터의 행동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게 만들면서도 그로 인한 피로를 느낄 새도 주지 않고 차분하면서도 성큼성큼 차례대로 단계를 밝아가며 관객의 시선과 사고를 주도합니다.
하지만, ‘Magnetic Rose – 그녀의 추억’은 마무리가 상당히 애매해 아쉬운 작품이었습니다. 행위의 결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관객에게 확연히 전달하지 못했다는 느낌입니다.
나머지 ‘Stink Bomb’와 ‘Canno Fodder’는 직접 감상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꼭 이것들을 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음악도 정말 괜찮다 싶어서 OST를 구하려 했는데 알고보니, Yoko Kanno씨가 맡은 것이더군요. 특히, ‘Magnetic Rose’에서 나오는 오페라는 일품입니다. 이 장면은 너무나도 인상이 강렬해 ‘Memories’ 작품 전체를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상단의 이미지가 바로 그것입니다.
DVD를 구매할 생각을 하고 지웠는데 알고보니 DVD판매는 없더군요. 덕분에 다시 받아야 하게 되었습니다.
간만에 정말 소장하고 싶은 작품입니다.
(2004-12-16, 0058 hours)
늙은이를 싫어하는, 자신이 그렇게 될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하는 않는 바보같은 젊은이들에게 조금이나마 깨닮음을 주지않을까 생각되는 영화.
보고 싶다!!!
– 아라마키 다이스케 –
요즘 APPLESEED라는 마사무네의 작품을 채용한 동명의 영화 APPLESEED가 나왔기 때문에 ‘바이오로이드’가 무엇인지 대충은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요즘 프로토의 등장이 빈번해서 주목하고 있었지요. 그런데, 프로토의 ‘나는 바이오로이드다’라는 고백은 무척이나 당황스럽더군요.
FLCL.
정말 마음에 드는 표정! 센세이션 그 자체다!
지금까지의 사건을 이해하지 못한 이들과 확답을 주기위한 친절한 설명 및 마무리. 그리고, 고다의 목적이라 생각해왔던 행위가 또 진심된 목적의 연장선일 가능성 제시.
고다는 어쩌면 사상의 진짜 창시자가 되려는 것일지도…….
21화에서 그의 모습은 지금까지의 냉철한 판닥력과 카리스마의 모습이 아니었다. 누군가(고다)의 속셈에 넘어가고, 궁지에 몰려 혼자서 전투를 벌이는 모습. 그리고 빈 가방임을 알면서도 나가사키에 들어가기 위해 애쓰는 그 모습은 인간이 어두운 미래 앞에서 진정 사투를 벌일 때의 모습이다.
이제 아마도 쿠제와 고다, 그리고 9과의 진정한 두뇌대결이 있으리라 본다.
쿠제가 플루토늄이 없음에도 나가사키에 들어가려는 이유는 자신이 각본상의 캐릭터라는 것을 이미 알아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가 비록 플루토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이 나가사키에 도착해야지만 난민이 플루토늄을 소유하고 있다는 시나리오가 성립할테니까 말이다. 그럼, 분명히 플루토늄은 나타난다. 그의 승부는 그 때부터 시작될 것이리라.
21화를 안보셨거나 아직도 눈치채지 못하신 분이라면 읽지마세요~
이미 전부터 예상했었습니다만 역시, 쿠제의 정체는 학접는 소년이었군요. 21화로 확실해졌습니다. 노골적으로 그가 누군지 시사하네요. 그가 학접는 소년임을 가리키기 시작한 것은 이미 중반부부터 계속되어 왔지요.
Deepthroat님께 미안하게 되었습니다. 일찍이 쿠제에 대하여 눈치채고 있었기에, 그의 정체에 관하여 조금 언급한 적이 있었죠. Deepthorat님은 생각지 못하셨었나봐요. 그 때 당했다고 통탄해 하셨었는데 ^^;;
21화 지금 감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