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SONY

DR-BT22

  블루투스가 전송기능이 약해 음질이 나쁘다는 말이 많지만, 사실 몇년 전부터 나오고 있는 2.0 버전에도 이 말을 적용시키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기기의가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스펙이니까요. 다만 실제로 음질이 나쁜 문제가 나타나는 것은 블루투스 기기 메이커들이 오디오 기기가 전문 메이커가 아니라는데 있죠. 반대로 아날로그인 오디오 기기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들은 블루투스라는 디지털 기기를 접목시켜 작업과 사업의 범위를 넓힐 여력이 없습니다.

  그런데, 꽤나 오래전에 전통 아날로그 고집하다 여기저기서 쥐어터지고 여타 업체와 같이 쓰러질뻔 했던 SONY가 디지털 기술의 범위로의 힘든 확장이 성공하게 되면서 종전과 같은 먼져 도전하는 주자의 모습으로 되찾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내놓는 여러 부류의 제품 중 하나가 바로 이 DR-BT22가 아닐까 합니다.

  제가 블루투스 헤드폰을 몇가지 써봤지만 확실해 괜찮은 해상력을 가지고 있네요. 뜯고나서 음악을 재생시켰을 때는 “쿠엑”이라 외쳤지만 출력이 다듬어지지 않은 새 제품인걸 깜박했지 뭡니까. 조금 재생을 계속 시켜두니 훌륭한 음색입니다. 미약히 낮게 울려펴지는 배경음(저음 아님)도 제대로 표현할 수 있더군요. 요즘 귀가 많이 나빠져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여타 싸구려 기기로 소리를 들을 때 생기는 공허감도 잘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차피 세미 오픈 형식이기에 어차피 소음을 막을 수 없으므로 사실 생각해보면 이정도는 과분한 해상력이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페이스도 귀에 부담이 가지 않아서 좋더군요. 일반적인 블루투스 헤드셋, 헤드폰의 경우 단추가 뻐뻑해서 귀를 꽈악 누르게 되어 미묘하게 기기가 눌려 귀가 아프거나 하는 현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DR-BT22는 귀와 대치하게 되는 전면의 단추는 전원과 전화를 위한 단추 두 개 뿐이고, 나머지 단추는 우측면 뒷쪽에 붙어있습니다. 음량은 일반 단추지만 음악의 제어는 조그 단추라서 음악을 제어할 때도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활발해서 여기저기 뛰어다니는 분은 기기가 떨어져도 붙잡아 줄이 없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폴짝폴짝 뛰어다니는 활발한 다른 제품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한국에 정식 수입되기 시작한지 1년이 되가는 듯 싶은데, 종전의 9만원을 넘더 가격이 8만원 내외로까지 떨어졌습니다. 제가
이번에 구매한 제품이 2008년 6월인 불과 3개월 전에 제조(말레이시아)되었다는 걸 생각하면 딱히 재고가 쌓이지 않고 꾸준히
팔리는듯합니다. 앞으로 새 제품이 나올만한 시기와 가격을 고려해볼 때, 새 블루투스를 써보려 한다면 지금이 적기가 아닐까 하네요.

  마이크 기능은 실외에서 쓰기엔 좀 곤란한 편입니다. 일반 헤드폰 생김새를 고수하려 했기 때문인지, 마이크가 측변 바깥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마이크 성능 자체는 나쁘지 않아 “대체 뭐라 지껄이는거냐. 소리만 크고 알아들을 수가 없다!”는 말은 안듣겠지만 “소리가 너무 작아. 좀 크게 얘기해봐.”라는 말은 분명히 들을 겁니다. 근데 실외에서 크게 소리치며 말할 순 없죠. 마이크 위치 완전 논센스예요.

SONY DR-BT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