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NAS 0.69

http://cafe.naver.com/networkhard/3845

  FreeNAS에 대해서 검색해보니 VMware로 돌려도 상관없겠다 싶어(전력은 380V 상업형이므로 제외) 어차피 늘 24시간 토렌트가 돌아가는 데스크탑에 하드를 물려주고 전용으로 쓰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FreeNAS에 관해 검색하고 다니다보니까 대부분 몇 개월 전의 리포트로 가장 최근인 불과 2개월 전까지도 각종
블로그에서 “좋은데 한글이…….” “무료니까 한글이 안되도…….” 라며, AFP와 SMB에 대한 서로 다른 인코딩 지원으로
문자가 깨지는 현상을 말씀시더라고요.

 
아톰 넷탑 맞추려다 새 사타2 하드만 꼽아놓은 상태에 지마켓 20만원 10만원 5만원의 각각 10% 할인권도 유효 날짜가 오늘이
마지막이어서 완전히 시기 놓치고 똥줄 탄 심정으로 손가락을 떨며 설치나 해보았습니다. 어떻게든 설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했지요.

 
AFP와 SMB의 각 설정을 켜는데, SMB에도 UTF-8 설정이 써있더군요. ‘어랏. SMB 버전이 낮아서 유니코드 설정이
없다 했던듯한데’라며 각 2가지 설정을 마치고 맥과 윈도에서 서로 한글 파일을 날리고 서로 각 파일을 보았습니다.

 
……. 잘되네요?

   VMware 붓이 굉장히, 굉장히, 굉장히 신경 쓰이긴 하지만, 아무리 구글링을 돌리고 던져보아도 성능(퍼포먼스)가 안좋다는
얘기는 못찾았으니 뭐 괜찮은거겠죠? VMware로 붓시키고 하드를 임포트 시키는것이나, USB로 붓 된 컴에서 하드 잡아줘서
쓰는거나 정말 성능차이가 없는걸까 궁금즘이 가시지 않네요.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태그: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