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비트 네트워크 구성 기초

  기가비트 랜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확인 사항.

  1. 네트워크 카드: 기가비트 및 점보 프레임 지원 여부. PCI-E 여부(PCI면 300 Mbps가 한계

[footnote][#M_ more.. | less.. | PCI NIC의 기가비트 허용 속도_M#][/footnote]

). 점보 프레임 최대값의 통일[footnote]점보 프레임은 네트워크 내의 최저 점보 MTU값으로 통신하게 되어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음.[/footnote]. 허브 혹은 라우터: 기가비트 및 점보 프레임 지원 여부. OS의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에서 점보 프레임을 지원[footnote]보통 윈도는 문제 없지만 *nix 계열로 가면 리얼텍 내장 랜에 문제 많음.[/footnote] 여부 및 실행[footnote]기본적으로 꺼져 있다.[/footnote] 여부. 사용 회선이 CAT5e 이상인가 확인[footnote] CAT5도 내려받는 것은 문제가 없어보인다.[/footnote].

  회선은 30미터 내라면 왠간한 손실율 없음. 저는 실거리 20미터로 여러대 꼽고 쓰고 있습니다.

  이렇게 기본적인 구성을 제대로 맞췄다면 500Mbps ~ 800Mbps까지 되는 듯하네요. 제 기가비트 랜 구성이 좀 깨끗하진 못해도 300메가 PDF 받는데 4초 걸립니다.

  회선거리 총 40미터에 실거리 10미터 가량, 자세히 설명하면 20미터 CAT6가 3Com 3CGSU08(이하 08)로 들어가 15미터 CAT5를 통해 10터를 구불구불 달려 3Com 3CGSU05(이하 05) 기가비트 허브로 들어가고서 다시 5미터 CAT5e를 통해 오는 자료가 이 속도가 나옵니다. 허브가 중계하고 있으니, 회선이 총 40이더라도 20미터 이내로 떨어져서 로스율이 적은것 같네요. IPTime G504에서도 회선이 30m내의 로스율 허용 범위내에 있다고 뜹니다.

  반면, FreeBSD에서 리얼텍 내장랜의 점보 프레임을 지원하지 못해 회선거리 7미터 내(05 중계 5+2)에서 내부PCI-E임에도 불구하고 100Mbps 이상을 절대 내지 못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네트워크 카드를 확장 했는데, 확장 가능 슬롯이 PCI 뿐였기에 300Mbps 가량만 나옵니다.

  기가비트를 구성할 때는 각 컴퓨터 상황을 잘 파악해야 낭비없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


게시됨

카테고리

작성자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